인생은 지능이 아니라 행동에 보상한다
저는 수능 1세대 수험생이었습니다.
첫 수능을 앞두고, 수십 년간 학력고사에 맞춰져 있던 교육 시스템과 사회 분위기가 우왕좌왕하던 시기였고, 똘똘하고 감이 좋은 학생들은 운 좋게 좋은 결과를 얻어 상위권 대학에 진학하기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 시절, 많은 분들이 들어보셨을 ‘우리 아들은 머리가 좋아서 나중에 큰일 할 거야’라는 말이 저희 부모님 입에서도 나왔고, 저도 언젠가는 잘될 운명이라 스스로 믿으면서 ‘노력’을 기본 전제로 두기보다는, 나름의 이유를 붙이며 적당히 살아갔던 것 같습니다.
저는 항상 계획을 세우는 걸 좋아했고, 스스로 그것이 제 재능이라 여기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많은 일들을 마감 직전까지 미루다가 결국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를 만들고, 거기에 또 쉽게 안주하곤 했습니다.
그렇게 적당히 사는 게 편했는지, 성공은 어쩐지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라 생각하면서, 작은 실패나 시행착오에도 끈질긴 변명을 만들어내는 데 오히려 많은 에너지를 쏟아부었던 것 같습니다. 어머니가 그러셨듯이, 저도 언젠가는 큰일을 할 운명이라는 말에 기댄 채 말이죠.
‘똑똑하다’는 믿음이 저를 움직이지 않게 만들었고, 일보다도 변명에 더 많은 노력을 들였던 것 같습니다. 완벽을 꿈꾸었지만 결국 아무것도 제대로 쌓지 못한 시간들이 있었던 것 같아요.
그러던 중, 어제 우연히 본 영상 하나가 떠올랐습니다.
“인생은 지능이 아니라 행동에 보상한다”는 말이 인상 깊었는데요. 똑똑한 사람일수록 ‘이건 너무 작다’, ‘의미 없다’며 스스로를 설득하며 행동을 미루게 된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우리는 모든 걸 할 수는 없지만, ‘하나’를 하고 또 하나를 이어가는 식으로 충분히 큰 전진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이야기에 마음이 크게 움직였습니다. 중요한 건, 계속 나타나고, 시도하고, 행동하는 것이며, 설령 서툰 행동이라 해도 그 안에서 무언가를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가치 있다는 말이 참 크게 다가왔습니다.
성공은 똑똑함이나 완벽한 계획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작고 서툰 행동의 반복에서 비롯된다는 걸 새삼 느끼게 되었습니다. 생각만 많고 실행이 부족했던 저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고, 이제는 한 번의 시도, 한 걸음의 움직임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조금씩 깨닫게 되는 것 같습니다.
서툴고 부족해도, 하나를 하고 또 하나를 이어가는 것. 그게 전진이고, 성장이고, 진짜 변화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미 멋진 하루를 열심히 만들고 계신 분들처럼, 저도 오늘부터라도 ‘하나씩’ 실천해보겠습니다.
우리 두 딸이 배울지도 모를 ‘언젠가’를 핑계 삼아 미루던 습관은 이제 조금씩 내려놓아 보려고요. ㅎㅎ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