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이 아니라 글을 써야 했던 나에게 – ‘초간단 매뉴얼 스크리브너’ 이기원 작가
스크리브너는 참 고약한 도구였습니다. 적어도 예전의 제게는 그랬던 것 같습니다.
몇 년 전 처음 구입했을 때만 해도 ‘이제 제대로 써보자’는 마음이 있었지만, 결국 마우스만 이리저리 굴리다 포기하곤 했습니다. 인터페이스는 낯설고, 기능은 너무 많았고, 설명서는 백과사전 같았습니다.
‘글을 쓰려고 시작했는데, 글을 쓰기까지 너무 많은 걸 알아야 하다니…’ 이런 생각이 머리를 가득 채우곤 했습니다.
나만 그런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많은 분들이 비슷한 경험을 했더군요. 컴파일 하나 제대로 못 해서 밤을 새우거나, 포맷 때문에 제출기한을 놓쳤다는 글도 봤습니다. 이걸 쓰느니 워드나 구글 문서로 돌아가자는 말도 공감이 되더군요.
스크리브너는 결국 글쓰기 도구가 아니라 ‘글쓰기 프로그램 학습 프로그램’ 같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우연히 보게 된 이기원 작가님의 초간단 매뉴얼: 스크리브너 편은 저에게 큰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비유하자면, 이전의 책들이 엔진 오일의 점도와 와이퍼 교체 방법, 세차 노하우까지 알려주는 자동차 백과사전이었다면, 이 책은 마치 ‘핸들, 브레이크, 엑셀’만 정확히 알려주고 골목길부터 조심스럽게 운전시켜주는 연수 선생님 같았습니다.
기능은 많지만, 그걸 다 알아야 쓸 수 있는 건 아니라는 걸 이 책은 가르쳐주었습니다. 가장 필요한 세팅, 당황하지 않을 기본기부터 익히고, 그 안에서 조금씩 글을 쓸 수 있게 도와주는 방식이 정말 편안했어요.
지금 저는 그 어떤 스크리브너 관련 책을 볼 때보다 훨씬 적은 노력으로, 딱 필요한 만큼의 기능만 익혀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덕분에 ‘글을 쓴다’는 본래의 목적이 더 또렷해졌고, 매일 짧게라도 무언가를 남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능에 질려 대중교통 타듯 다른 도구를 쓰던 저에게, 이제는 저만의 핸들이 생긴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스크리브너 덕분에 글쓰기 자체의 즐거움에 조금씩 더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스크리브너 허들을 낮춰주신 이기원 작가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글을 쓰며, 매일 조금씩은 어른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ㅎㅎ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