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기능이 아니라 글을 써야 했던 나에게 – ‘초간단 매뉴얼 스크리브너’ 이기원 작가

스크리브너는 참 고약한 도구였습니다. 적어도 예전의 제게는 그랬던 것 같습니다.

몇 년 전 처음 구입했을 때만 해도 ‘이제 제대로 써보자’는 마음이 있었지만, 결국 마우스만 이리저리 굴리다 포기하곤 했습니다. 인터페이스는 낯설고, 기능은 너무 많았고, 설명서는 백과사전 같았습니다.

‘글을 쓰려고 시작했는데, 글을 쓰기까지 너무 많은 걸 알아야 하다니…’ 이런 생각이 머리를 가득 채우곤 했습니다.

 

나만 그런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많은 분들이 비슷한 경험을 했더군요. 컴파일 하나 제대로 못 해서 밤을 새우거나, 포맷 때문에 제출기한을 놓쳤다는 글도 봤습니다. 이걸 쓰느니 워드나 구글 문서로 돌아가자는 말도 공감이 되더군요.

스크리브너는 결국 글쓰기 도구가 아니라 ‘글쓰기 프로그램 학습 프로그램’ 같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우연히 보게 된 이기원 작가님의 초간단 매뉴얼: 스크리브너 편은 저에게 큰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비유하자면, 이전의 책들이 엔진 오일의 점도와 와이퍼 교체 방법, 세차 노하우까지 알려주는 자동차 백과사전이었다면, 이 책은 마치 ‘핸들, 브레이크, 엑셀’만 정확히 알려주고 골목길부터 조심스럽게 운전시켜주는 연수 선생님 같았습니다.

기능은 많지만, 그걸 다 알아야 쓸 수 있는 건 아니라는 걸 이 책은 가르쳐주었습니다. 가장 필요한 세팅, 당황하지 않을 기본기부터 익히고, 그 안에서 조금씩 글을 쓸 수 있게 도와주는 방식이 정말 편안했어요.

 

지금 저는 그 어떤 스크리브너 관련 책을 볼 때보다 훨씬 적은 노력으로, 딱 필요한 만큼의 기능만 익혀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덕분에 ‘글을 쓴다’는 본래의 목적이 더 또렷해졌고, 매일 짧게라도 무언가를 남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능에 질려 대중교통 타듯 다른 도구를 쓰던 저에게, 이제는 저만의 핸들이 생긴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스크리브너 덕분에 글쓰기 자체의 즐거움에 조금씩 더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스크리브너 허들을 낮춰주신 이기원 작가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글을 쓰며, 매일 조금씩은 어른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ㅎㅎ

매년 도전하는 글쓰기 올해도 도전!

글쓰기 앱인 스크리브너 연습중입니다.

폰트설정을 잘못했는지 화면속에 글자가 너무 작네요 그래도 새로운 ‘고운바탕’ 폰트는 너무 마음에 듭니다. 개인 블로그와 감자탕 홈페이지에도 이 폰트를 사용중인데, 키보드로 적어내는 글들이 화면가득 이쁜 글자로 채워지니 마치 손으로 정성껏 써내려가는 기분이 들어 참 좋습니다.

얼마전 브랜딩 관련 책을 읽으면서 몇 가지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반성컨데 지금껏 정보를 꾸역꾸역 눌러담은 글로 나조차도 읽기 싫은 이야기를 써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새로 쓰는 글부터라도 힘을 빼고 정보의 전달보다는, 진심인 마음을 골라 누군가에게 가치있게 읽혀질 생각으로 소화까지 잘되는 이야기로 적어보려고 합니다.

일단은 메시지는 매력있는 이야기에 실어보내는 정보?라 생각해 볼까합니다. 효과적인 정보의 전달에만 신경쓰는 것이 아닌 전달력을 고려해가면서 읽어주시는 분들도 내 정성에 함께 기분좋아지는 이야기들을 써보겠습니다. 어렵겠지만 노력으로 극복해 보겠습니다.